프로젝트 동향
1. 1. 이번 바이텀 첫 온라인 개발자 챌린지가 끝나면서 15개의 팀이 1차 통과를 했습니다. 심사위원의 종합적인 평가를 거쳐, JoyAsset 비원 디지털 자산 탈중심화 경매 거래 도구, “카피라이트 트레져” 지적 소유권 보호 항목, Soeasy증 등 3개의 작품은 우수한 제품 디자인과 기술 원리,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정도, 블록체인과의 부합 정도 등으로 “2019 바이텀 글로벌 개발자 대회”의 결승전에 바로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획득하였습니다.
2. 5월9일, BHEX에서 발표한 공지에 따르면 바이텀 BTM이 해당 플랫폼에서 정식으로 오픈하였고 현재 BHEX의 유통 플랫폼에서 USDT/BTM 거래 페어의 거래가 가능합니다.
https://twitter.com/BHEXOfficial/status/1126313440933376000
3. 2019년 4월 1일, Bytom이 블록체인 안전 생태 BUGX에서 오픈하면서 여러 화이트 해커들로부터 총 12개의 안전 버그를 제출 받았고 7개의 유효 버그를 통과하였습니다. Bytom은 버그 수리에 적극적으로 임할 것이며 동시에 버그를 제출한 화이트 해커에게는 푸짐한 보상을 줄 것입니다.
4. 바이텀은 5월 10일 보스턴에서 “Creating Value: Blockchain Application and Real World Adoption”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바이텀의 CEO인 두안신싱(段新星), Bytomswap의 창시자 Anil 등이 출석할 것이니 여러분들도 함께 블록체인 미래의 형태에 대해 토론하는 것을 환영합니다: https://www.eventbrite.com/e/2019-harvard-blockchain-meetup-series-3-tickets-60736858579
5. 바이텀은 5월 14일 뉴욕에서 “2019 Programmable Economy and Digital Assets Conference ”을 개최할 예정이며 해당 회의는 뉴욕 블록체인 주간 행사에 포함되어 공식 행사가 되었습니다. 여러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: https://www.eventbrite.com/e/2019-programmable-economy-and-digital-assets-conference-blockchainconsensus-tickets-60508311990
6. 바이텀 메인 네트워크의 1주년 AMA 활동이 정식으로 마감되었고 보상 배분도 마무리가 되었습니다. 여러분들의 참여에 감사드립니다!
개발 현황
사이드 체인:
1. 사이드 체인 크로스 링크 거래와 연방(联邦) 중계 모듈 디자인;
2. EOS bft-dpos의 구체적 실현 조사 연구;
3. 합의 알고리즘 블록 사인 검증의 초보적 실현, 주어진 공개키의 합의 노드 여부 및 합의노드로 돌아가기, 다음번 블록 아웃 시간 등 세 개 모듈;
4. 사이드 체인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합의 메시지 전송, 안전방안 조사 연구;
5. 메인 체인과 사이드 체인 사이, 각 서브 사이드 체인 네트워크 격리와 노드 접속 실현;
6. 슈퍼 장부의 BCCSP 인터페이스 디자인 조사 연구, vapor의 배치할 수 있는 공개키를 위해 참고;
7. Ed25519 암호 알고리즘 공용 인터페이스 개발;
blockmeta:
1. blockmeta서버 하드디스크 조기 경보 수리;
2. blockmeta의 백 엔드 코드 최적화,swagger 문서 인터페이스 정보 보완, 자산명에 따른 자산 정보 조회 백 엔드 인터페이스 추가;
dapp:
1. dapp 논리흐름도의 처리 최적화, redis의 병행 프로세서와 흐름도 동기화의 타임아웃 처리 추가;
2. dapp 전체의 기능 개발 및 dapp의 기능성 테스트 조정 완성;
byone:
1. send_transaction,send_advanced_transation 등 맞춤 제작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완성;
2. default_account,accounts,net 등 인터페이스 보완 최적화;
연구:
1. eltoo가 Layer2 방안에서 확실히 Layer1로 돌아갈 때 최신 상태 사용 연구;
2. NIPoPoW에 의한 trustless의 메인 체인과 사이드 체인 사이의 이체 연구;
3. Flyclient 초경량 노드 실현 연구;